지갑은 이제 안녕! 삼성페이 완전 정복
.jpg)
갤럭시S25를 포함한 최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위치추적 기능은 내비게이션, 날씨 앱, SNS 태그 기능 등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지만, 프라이버시가 중요한 사용자에게는 오히려 불편하거나 불안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특정 앱이나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기능이 백그라운드에서 작동할 경우,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나 사생활 침해가 우려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위치추적 껐다고 생각했는데, 여전히 작동 중인 앱이 있었다”는 경험을 하곤 합니다. 이는 단순히 위치 기능만 끄는 것이 아닌, 구글 계정, 시스템 설정, 개별 앱 권한 등 다양한 단계를 함께 점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갤럭시S25에서 위치추적을 완전히 꺼놓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위한 실질적인 팁까지 함께 소개하겠습니다. 스마트폰을 처음 접하는 분들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그림 없이도 이해 가능한 방식으로 안내해 드립니다.
갤럭시S25를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꼭 알고 있어야 할 핵심 내용으로, 일상적인 사용 중 위치 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되고 차단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설정이 어렵게 느껴졌던 분들도 이 가이드를 통해 안심하고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갤럭시S25의 가장 기본적인 위치 차단 설정은 '위치' 기능 자체를 꺼버리는 것입니다. 이 설정 하나만으로도 대부분의 앱의 위치 접근을 막을 수 있습니다.
먼저 설정 앱을 엽니다.
연결 또는 위치 항목을 선택합니다.
'위치'라는 메뉴가 보이면 탭하고, 상단에 위치한 스위치를 끔으로 설정합니다.
이 상태에서는 어떠한 앱도 기기의 GPS 정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 설정은 기본적인 차단일 뿐, 일부 시스템 앱이나 구글 서비스는 별도로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합니다.
갤럭시S25는 구글 계정과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구글 위치 기록이 별도로 작동합니다. 이를 끄기 위해서는 다음 절차를 따릅니다.
설정 → Google → Google 계정 → 데이터 및 개인 정보 보호로 이동합니다.
'위치 기록' 항목을 찾아 선택합니다.
현재 연결된 모든 계정에 대해 위치 기록을 **'일시중지' 또는 '끄기'**로 설정합니다.
이 과정에서 '기기에 저장된 과거 위치 기록 삭제'도 함께 수행할 수 있습니다.
구글 위치 기록을 꺼도, 여전히 일부 앱에서 실시간 위치 요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후의 개별 앱 권한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많은 앱이 사용자의 위치를 필요 이상으로 수집합니다. 앱마다 위치 권한을 어떻게 설정했는지 파악하고, 필요 없는 앱은 권한을 철회해야 합니다.
설정 → 개인정보 보호 → 권한 관리자 → 위치로 이동합니다.
위치 권한을 가진 앱 목록이 표시됩니다.
각 앱을 선택하면 ‘항상 허용’, ‘앱 사용 중에만 허용’, ‘거부’ 등의 옵션이 나옵니다.
자주 쓰지 않는 앱이나 불필요한 앱은 **‘거부’**로 설정하세요.
특히 배달앱, 쇼핑앱, 게임 등은 기본적으로 위치 권한을 활성화해 놓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위치 정보 외에도 스마트폰에는 위치 기반으로 작동하는 부가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또한 함께 차단해야 완벽한 위치 차단이 가능합니다.
설정 → 연결 → 위치 → 위치 정확도 개선 항목에서
Wi-Fi 스캐닝, 블루투스 스캐닝 기능을 끄세요.
이 기능은 GPS가 꺼져 있어도 Wi-Fi 신호나 블루투스를 이용해 위치를 추정하는 기능이므로 함께 꺼야 합니다.
긴급 상황 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이 켜져 있으면,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위치가 전송될 수 있습니다. 이 역시 꺼야 완전 차단이 됩니다.
**설정 → 위치 → 고급 설정 → 긴급 구조용 위치 서비스(ELS)**로 들어갑니다.
스위치를 꺼 위치 정보 전송을 막습니다.
다만, 이 기능은 재난이나 사고 상황에서 구조를 위한 정보 전송이기 때문에 필요 시 다시 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전까지의 위치 기록이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에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과거 기록까지 말끔히 지우려면 다음을 참고하세요.
설정 → Google 계정 → 데이터 및 개인정보 → 내 활동 → 위치 기록으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위치 기록 삭제를 선택하고, 전체 삭제를 진행합니다.
이렇게 하면 구글 서버에 저장된 위치 로그도 완전히 삭제됩니다.
삼성 스마트폰에는 스마트 추적 기능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의 '내 디바이스 찾기' 기능은 백그라운드에서 위치를 저장합니다.
설정 → 생체 인식 및 보안 → 내 디바이스 찾기로 이동하여 기능을 꺼주세요.
'오프라인 찾기'와 '마지막 위치 전송'도 함께 끄는 것이 좋습니다.
홈 화면에 위치 기반 기능을 제공하는 위젯이 있다면, 이것도 위치를 계속 사용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해당 위젯을 제거하고 앱 설정에서 기능을 꺼야 합니다.
특정 앱 설치 시 위치 권한을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신 업데이트 이후 시스템 앱이 변경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합니다.
설정 → 앱 목록 → 새로 설치한 앱 확인
위치 권한 자동 활성 여부 체크 및 권한 거부
위치 추적 차단은 한 번 설정하고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정기적으로 위치 권한을 검토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보호 수단입니다.
위치 기능을 쓰지 않아도 되는 앱이라면 과감히 삭제하거나 백그라운드 실행을 제한하세요.
삼성 루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특정 조건에서 위치가 켜지는 설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설정 → 유용한 기능 → Bixby 루틴을 점검하고, 위치 관련 설정을 비활성화하세요.
일부 기기에서는 와이파이 연결 시 자동으로 위치가 활성화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설정 → 위치 → 고급 설정 → 위치 정확도 개선에서 와이파이, 블루투스 위치 스캔 기능을 해제하세요.
삼성 기본 앱들(삼성 헬스, 날씨 앱 등)은 위치를 지속적으로 요청할 수 있습니다.
해당 앱 설정 내에서 위치 사용 여부를 '허용 안 함'으로 설정하세요.
배우자, 자녀, 직원 등을 추적하기 위한 위치추적 앱이 몰래 설치된 경우도 있습니다.
설정 → 앱 → 의심되는 앱 목록을 확인
모르는 앱은 검색 후 삭제 여부 판단
갤럭시 스마트폰의 보안 폴더 내에서 별도로 위치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보안 폴더 내 설정에서 위치 사용을 비활성화해야 완전 차단이 가능합니다.
위치 추적이 걱정된다면, 위치 사용 앱을 탐지해주는 전문 앱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GlassWire', 'Bouncer', 'Permission Manager' 등 설치 후 확인하세요.
개발자 옵션을 통해 위치 접근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 → 빌드번호 7회 탭 → 개발자 옵션 활성화
개발자 옵션 내 백그라운드 위치 접근 앱 확인
모든 위치 권한을 재설정하려면 다음 절차를 참고하세요.
설정 → 앱 → 전체 앱 → 권한 초기화 기능 사용
위치 기능을 끄면 배터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차단 전후의 사용시간 차이를 비교해보세요.
FAQ 자주 묻는 질문
갤럭시S25에서 위치 기능을 꺼도 GPS가 작동하나요?
아니요. 기본 위치 설정을 끄면 GPS 포함 모든 위치 기반 서비스가 중지됩니다.
긴급 구조용 위치 서비스는 반드시 꺼야 하나요?
프라이버시가 중요하다면 꺼야 하지만, 재난 상황을 대비해 활성화 유지도 고려해보세요.
모든 위치 기록을 삭제하면 복구가 가능한가요?
아니요. 구글 서버에서 삭제한 위치 기록은 복구되지 않습니다.
위치 추적 앱을 몰래 설치하면 알 수 있나요?
일부 백그라운드 앱은 눈에 띄지 않을 수 있지만, 설정에서 앱 목록을 확인하면 알 수 있습니다.
와이파이나 블루투스를 쓰면 위치가 켜지나요?
위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기능으로 자동 활성화될 수 있으니 수동으로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자동으로 위치가 켜지는 걸 막을 수 있나요?
루틴, 자동화 설정, 앱 업데이트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면 예방할 수 있습니다.
위치 기능을 완전히 차단하면 어떤 기능을 못 쓰나요?
내비게이션, 날씨 앱, 배달 서비스 등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위치 차단 후에도 추적이 되나요?
시스템 또는 구글 계정, 앱 권한에서 완전히 차단하지 않으면 여전히 추적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